본문 바로가기
일상정보

2025 중위소득 150% 기준표 & 자가진단 계산기 활용법 총정리

by 에필로그03 2025. 3. 22.

정부지원금이나 복지 혜택을 알아보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문구, “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 대상” 과연 우리 가정도 해당될까요?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 수준인 6.42% 인상되면서,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.

 

이 글에서는 중위소득 150%가 무엇인지, 내가 해당되는지 직접 확인하는 방법, 공식 계산기 활용법까지 한 번에 알려드립니다!

✅ 중위소득 150%란?

중위소득은 모든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딱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입니다. 즉, 상위 50%, 하위 50%를 나누는 기준선이죠.

 

정부는 평균소득이 아닌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복지정책을 설계합니다. 그 이유는? 고소득자의 영향을 배제하고 현실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위함입니다.

💡 중위소득 150% = 중간소득의 1.5배 → 많은 복지 혜택이 이 기준 이하 가구에 제공됩니다!

📊 2025년 중위소득 150% 기준표

가구원 수 중위소득 150% 기준 월소득
1인 가구 3,588,020원
2인 가구 5,898,987원
3인 가구 7,538,030원
4인 가구 9,146,660원
5인 가구 10,662,288원
6인 가구 12,097,208원

💬 특히 1인 가구는 전년 대비 7.34% 인상, 그만큼 더 많은 1인 가구가 복지 대상에 포함될 수 있어요!

🔍 중위소득 150% 자가 진단 방법

① 직접 계산하는 방법

  1. 가구원 수 확인 (주민등록 기준, 단 지침별 예외 가능)
  2. 월 소득 합산 (세전 기준, 근로·사업·이자·연금 등)
  3. 기준표와 비교 → 기준 이하라면 대상 가능!

📌 예: 4인 가구가 월 900만원 벌면, 기준(9,146,660원)보다 낮으므로 복지 수급 가능성 있음

 

②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확인

  • 건강보험 납부내역 확인
  • 복지부 ‘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’와 비교
  • 간편하게 소득 수준을 추정 가능 (단, 참고용!)

🧮 중위소득 계산기 활용법 (복지로)

  1.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
  2. 상단 메뉴 → 복지서비스 > 모의계산
  3. 가구원, 소득, 재산 정보 입력
  4. 결과 확인: 중위소득 몇 %인지 + 받을 수 있는 복지 서비스 목록 제공

⚠️ 결과는 참고용! 실제 선정 여부는 각 기관의 심사 기준에 따름

 

중위소득-150-계산기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가구원 범위는?
👉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는 가족 + 일부 예외

 

Q. 상여금, 일시 소득 포함되나요?
👉 대부분 포함 (사업 지침 확인 필수)

 

Q. 재산도 고려되나요?
👉 ‘소득인정액’ 기준에서는 포함됨 (복지별 차이 존재)

 

Q. 어떤 복지사업에 적용되나요?
👉 청년 주거비 지원, 긴급복지, 출산지원금, 아이돌봄 수당 등

🏠 실제 활용 사례

  • 청년 A씨, 월소득 330만원 →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대상
  • 4인 가족 B씨, 실직 후 소득 300만원 → 긴급복지지원 가능성
  • 3인 가구 C씨, 소득 700만원 → 서울시 친인척 아이돌봄 수당 대상

📈 2025년 중위소득 변화 요약

  • 기준 중위소득 6.42% 인상 (역대 최고)
  • 생계급여 등 급여 기준 확대
  •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
  •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
  • 건강생활유지비 인상 (의료급여 수급자)

중위소득 150% 기준을 알고 정확하게 자가 진단할 수 있다면 놓치고 있던 복지 혜택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 

📌 복지로 계산기 활용
📌 소득·가구 구성 변화 시마다 재확인
📌 지자체 복지사업도 체크 필수!

 

📌 Tip: 이 글을 즐겨찾기 해두고 매년 중위소득 발표 이후 다시 확인하세요!